반응형
[유럽의 왕족] 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2)
(구) 제목_금수저의 인생_모나코 왕실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성 가롤로 보로메오_보로미언 고리
_성 가롤로 보로메오, 보로미언 고리
앞서 말씀 드렸듯이, 베아트리체는 외가보다 밀라노 기반의 귀족가인 친가의 유명세가 대단 합니다.
베아트리체의 family name은 편의상 짧게 '보로메오'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그녀의 진짜 family name 은 '보로메오 아레스 타베르나'입니다.
아래의 청첩장은 불어가 아니라 모나코어로 쓰인 듯 한데, 모나코 시민예식 당시 청접장의 하단엔 베아트리체 보로메오 아레스 타베르나로 찍혀서 나갔죠.
성이 길죠? 보로메오 가문은 긴 성만큼 역사가 긴 가문이며, 그리고 보로메오의 가주는 아래의 타이틀을 갖게 됩니다. (참고로 베아트리체의 아버지는 가문의 차남입니다)
긴 이름만큼, 요즘 웹소설(ex,조아라, 톡소다 등) 플랫폼에서 보는 공후백작위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죠
Prince of Angera
Marquess of Romagnano(후작위)
Count of Arona (백작위)
Count of Peschiera (백작위)
Lord of Cannobio and Vergante
Lord of Vogogna and Val Vigezzo
출저: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House_of_Borromeo
* Prince를 단순히 왕자로 해석해선 안됩니다. 나라마다 다르긴 한데 Prince를 왕자로 보기보단, 한 지역의 지배자로 볼 수 있습니다. 공작 or duke(공작)보단 아래~후작보단 상위 개념으로 쓰기도 하거든요.
그리고 보로메오 가문의 일원들은 정식으로 Don / Donna '이름' + 보로메오 아레스 타베르나 로 불립니다. 돈/도나 는 영국의 Lord / Lady 와 같은 개념으로서, 베아트리체의 아버지는 Don/Count 카를로 보로메오 아레스 타베르나로 불리고 어머니는 Donna/Countess 파올라 마르조토 로 불립니다.
예를 들면, 영국의 다이애나 왕세자비도 결혼 전엔 'Lady 다이애나 스펜서' 였습니다. 만약 다이애나 왕세자비가 이탈리언이였으면, 도나 다이애나 스펜서였겠네요 ㅋㅋ
일단 보로메오 패밀리는 중세시대부터 활발하게 활동한 가문입니다. 13~14세기로 올라가면, 메디치 , 비스콘티 같은 대 귀족 가문들과 혼맥이 있었고 카톨릭 추기경, 대주교, 학자들을 줄줄이 배출한 귀족가 입니다.
가장 유명한 사람은 '카를로 보로메오 or 가롤로 보로메오' 대 주교로, 이분의 모친은 교황 비오 4세의 동생인 마르가리타 메디치입니다. (우리가 많이들어본 그 메디치 가문 맞습니다.) 카톨릭 성인으로 추앙받는 존경받는 인물이며 기념일도 있는데, 네이버 검색하면 자료가 많습니다 ㅋ 아래는 네*버 검색하면, 바로 나오는 백과사전에 서술된 내용입니다.
마조레 호반의 아로나 성주 가문 출생. 파비아에서 법률을 배우고, 외삼촌 비오 4세(재위 1559∼1565)의 로마교황 즉위와 함께 서기관장이 되어 교황청의 전권을 위임받음과 동시에 추기경에 임명되었다. 뒤에 밀라노 대주교가 되어 학문의 진흥과 교회쇄신에 진력하였다. 비오 4세를 도와 트리엔트공의회를 재개하고, 그 회의를 성공으로 이끌었다. 가톨릭의 반(反)종교개혁 지도자로서 성직자의 부패를 철저히 배격하였기 때문에 적도 많았지만 가톨릭회의 실추된 위상을 재흥시킨 공로가 크다.
카를로 보로메오 [Carlo Borromeo] (두산백과)
3. 또다른 이유론, 역사적으로 유명한 기하학 도형이 바로 이 집안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 졌기 때문입니다.
Borromean rings _ 보로미언 고리 _ 보로메오 매듭 _보로미언 링
원래 이 도형 자체는 고대시대 부터 쓰였습니다. 하지만 보로메오 가문이 이 도형을 가문의 표식에 쓰기 시작하면서 보로메오 고리, 보로미언 링이란 이름이 붙어버렸고, 가문의 유명세 때문에 그냥 그 이름이 쭉 붙어버리게 된 거죠.
실제로 위의 조각들은 보로메오 가문의 성에 쓰이는 표식들입니다. 아주 사방 팔방 다 써놨더군요 ㅋㅋ
보로메오 가문의 상징?인데요, 왼쪽 하단 가운데 보이는 노란 고리가 보로미언링 그리고 이 고리는 아래와 같이 응용들이 됩니다,
다음 포스팅으로 계속 됩니다.
* 이 글은 본래 제가 몇년 전, 익명의 커뮤니티에 직접 업로드 했었던 글 입니다. 이미 보셨던 분들도 계실테지만, 내용을 다듬어 제 티스토리에 재 포스팅할 계획 입니다. 꽤 정성들여 정리해 온 자료입니다. 퍼 가실려면 출처를 밝혀주세요!
하도 무단으로 긁어서 + 심지어 퍼가지 말라는 코멘트만 빼고 제목까지 싸그리 무단으로 긁어가는 무뢰한들이 많아서 이럴바엔 내가 올린다! 란 심정으로 올립니다 ㅠ
반응형
'ROYALS > 모나코_카시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시라기 트리오_모나코의 비공식 왕자&공주(1) (0) | 2018.08.06 |
---|---|
[유럽의 왕족] 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8) (4) | 2018.04.25 |
[유럽의 왕족] 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7) (0) | 2018.04.24 |
[유럽의 왕족] 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6) (0) | 2018.04.23 |
[유럽의 왕족] 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5) (6) | 2018.04.22 |
[유럽의 왕족] 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4) (0) | 2018.04.22 |
[유럽의 왕족] 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3) (0) | 2018.04.18 |
[유럽의 왕족]모나코_베아트리체 보로메오_금수저의 일생(1) (4) | 2018.04.15 |